분류번호
0023
이름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構造社)
생년월일
1946년 1월 창립
출생지
부산
1946.01. 구조사건축연구소(構造社建築硏究所) 창립, 대표 배기형, 부산
1953.11. 사무소 이전 (서울시 서소문동, <대한중공업공사 중형 압연공장건물>설계가 계기)
1955.04. 신건축문화연구소 공동설립, 구조사건축연구소 폐소
1956.08. 신건축문화연구소 해체
1957.10.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재창립
1958.12. 주식회사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構造社-建築技術硏究所, KUZOSA-ARCHITECTURE & ENGINEERS개칭, 배기형 대표이사 취임, 영보빌딩 5층
사업영역
건축설계 및 감리, 토목구조물 설계 및 측량, 전기·조명·동력·발전 설계 및 감리, 난방·온습·온수·증기 등의 설계, 급수·급탕 설계 및 감리, 위생·배수 설계 및 감리, 건축집단지集團地 촌락村落 설계, 이상 각 기술자 간 설계, 계획의 검사 및 사정査定
조직 및 직원명단
· 건축: 이채영, 김창서, 김진균, 오웅석, 장종률, 오은환, 김일진, 문영재, 신은수, 윤도근, 서충식, 강재명, 윤용구, 이은철
· 구조: 함성권, 최영규
· 난방 및 환기설비: 유동렬, 이홍남, 황재근
· 전기설비: 문유현, 김영주, 박근식
· 토목: 강영환, 문창식
· 제도사: 15명, 엔지니어: 5명, 견적: 4명, 감리: 2, 사무직: 2, 기타: 3
1961 건축가 이천승,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에서 1년간 활동
1979 배기형,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대표이사 퇴임
1979.04. 윤홍갑,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대표이사 취임
1983.07. 상호명 변경: 주식회사 구조사종합건축사사무소
1947 조선제마방직주식회사 인천공장 복구 및 신축공사
1948 조선기계제작소 인천공장 본사무소 신축공사
1950 국립부산대학교 상과대학관 신축공사
1951 국립부산대학교 임시교사 신축공사
1952 전남대학교 목포상과대학교사 신축공사
1953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 부산공장신축공사, 대한중공업공사 중형 압연공장건물 신축공사
1954 대한중공업공사 압연공장건물 신축공사,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 공장건물 신축공사
1955 제일모직공업주식회사 대구공장 신축공사, 공군사관학교 체육관, 도서관, 의무대대 신축공사
1957 주식회사 동양염직사 칠암공장 신축공사
1958 충주비료공장 기숙사 신축공사(공동설계 신건축문화연구소), 반도극장, 세계극장 신축공사, 단성사 증축공사
1960 한일은행 을지로, 동대문, 부산북지점 영업소 신축공사, 유네스코회관 신축공사, 경주 석굴암 보수공사 참여
1961 제일모직공업주식회사 대구TOP공장 신축공사
1962 호남비료주식회사 저탄장(나주공장) 및 독신자숙소 신축공사, 한국전력 영월 제2화력발전소 신축공사
1963 울산비료주식회사 기숙사 신축공사, 제일병원 신축공사, 동양신문 및 동양방송국 증축공사
1965 새한제지공업주식회사 전주공장 신축공사, 동양나이론주식회사 장산리공장 신축공사
1966 효성물산주식회사 울산공장 신축공사
1967 국립건설연구소 수리시험실 설치공사, 미풍산업주식회사 김포공장 신축공사, 동양나이론주식회사 울산공장 신축공사
1968 삼척산업주식회사 북평공장 7,500KVA 전기로건물 신축공사, 중앙극장 증축공사, 경향신문사 사옥 계획안
1969 동광판초자주식회사 부산공장건물 신축공사,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인천공장 제5호건물 신축공사, 조달청 청사 신축공사, 대한화섬주식회사 부산공장 본공장 증축공사
1970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 인천원당공장 신축공사
1971 카톨릭대학 기숙사 및 도서관 신축공사, 인천제철 제3소형압연공장 및 제품저장장 신축공사
1973 한국아쓰기나이론주식회사 가리봉동 신축공사
1975 서울농협 본소 신축공사, 대한체육회 태릉선수촌 실내체육관 신축공사
1976 크로바산업 부평공장 신축공사 및 합숙소 증축공사
1977 서울중앙우체국청사 증축공사
1981 동양제과공업주식회사 영주 및 전주사무소 신축공사, 동양제과공업주식회사 대구공장 및 부산사무소 증축공사
1982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 인천 제2공장 전처리공장 증축공사
1983 동양제과공업주식회사 식품연구소 및 이리3공장 신축공사
1984 한국록크공업주식회사 제1공장 신축공사,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 이천 켄공장 신축공사
1987 국정교과서주식회사 본사, 공장 및 부대시설 이전건설공사, 한국공업표준협회 교육연구소 및 관리자 훈련동 신축공사
1988 주식회사 협선양행 김포공장 신축공사
1991 주식회사 삼양금속 영주공장 신축공사
1996 쌍용자동차 안성공도 종합물류센타 신축공사, 제일제당주식회사 중부권 물류센타 신축공사
설계도서의 내력
목천건축아카이브는 한국현대건축의 기록, 구술채록 연구를 통해 해방과 한국전쟁을 경험하며 한국건축계를 이끌어 온 당대의 건축가와 건축사무소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김정식, 안영배, 윤승중, 원정수·지순, 김태수의 증언은 한국 건축계의 세대의 층위를 구분하게 하였으며, 목천건축아카이브는 보다 앞선 세대의 건축 활동을 주목하기 시작하며 그들의 행적을 확인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조사하게 된다.
2014년 2월의 어느 날, 건축가 배기형의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이하 구조사)가 1979년부터 윤홍갑 소장을 통해 이어져 온 것을 확인하고 3월 2일 사당동에 위치한 사무소를 찾아가게 된다. 당시 윤홍갑 소장은 병환으로 미국에 머물고 있었으며, 전무이사인 박윤호 소장에게 목천건축 아카이브의 취지와 활동을 소개하며 구조사의 자료현황에 대해 문의하였지만 “자료가 남아있지 않다”는 답변만 듣게 되었다. 그 후 목천건축아카이브의 활동소식을 전하며 연락을 유지하고 있었던 2016년 9월 초, 구조사는 사무소 이전 소식을 전하며 보관중인 구조사의 자료를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목천건축아카이브에 전달했다. 곧바로 목천문화재단의 김미현과 김태형은 배기형과 구조사가 생산한 다량의 건축도면철과 관련 문서철, 사진철 그리고 건축 잡지 등의 원자료를 확인하였으며, 운영 위원회에 현황 보고 후 자료이관을 확정지었다.
구조사의 자료는 「배기형과 구조사」가 생산한 작품(이하 프로젝트) 단위의 성격으로 구분되었 으며, 자료는 매체유형별로 편철되어 구조사 창고에 보관되고 있었다. 9월 5일, 목천건축아카이브는 구조사와 기증협약을 맺고, 9월 6일부터 9일까지 나흘간에 걸쳐 기증자료를 자료보관소로 이관한다. 기증된 자료는 배기형이 1943년 일본 서도西島건축연구소 시절 작도한 청사진을 시작으로, 1946년 구조사건축연구소 설립 이래 신건축문화연구소와 주식회사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로 이어지는 배기형 시대의 구조사, 그리고 1979년 윤홍갑에 의해 재편된 주식회사 구조사종합건축사사무소에 이르기까지 지난 60여년의 건축 활동을 관통하는 기록물이었다.
우선 물리적 정리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2016년 9월 1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자료의 유형과 수집현황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동시에 기술(記述)체계의 배열을 마련하며 자료의 물리적 상태를 다음과 같이 구분해 볼 수 있었다.
- 자료 유형: 「배기형과 구조사」 수집부호(records group)를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단위로 시리즈 계열(records series)을 나누었다. 각각의 시리즈 계열의 하위군은 매체 유형별로 다시 구분하여, 기록물 철(records file)-기록물 건(items)의 순으로 배열 원칙을 정하였다. 기록물 관리 및 기술을 위한 메타데이터 형식을 갖춘 것이다.
- 자료 상태: 기록물을 건별로 일별하여 자료의 물리적 상태를 구분하였다. 우선 파손된 형태에 따라 손실과 탈락으로 구분하였고, 그밖에 비닐테이프 보수, 습기 노출로 인한 파손 여부 등을 주기해 놓았다.
10월 27일, 운영위원회의 자료 검수는 한국근현대건축사의 건축 기술(技術)을 소개하는 증거 자료로써 그 중요성을 인식하게 했고, 이로써 10월 31일 「배기형과 구조사」의 자료는 목천건축아카이브 수집코드에 등록되며, 본격적인 기록물 분류와 기술 작업 채비가 마련된다. 구축의 시작과 함께 목천건축아카이브는 2016년 11월 8일부터 15일까지 국가기록원 보존처리팀과 한국문헌정보 기술의 기록보존팀을 차례로 만났다. 앞서 조사한 자료의 물리적 정보를 가지고 보다 과학적인 보존 방안 마련을 위해서였다. 자문을 통해 훼손된 기록물의 복원과 수집자료의 보전처리 방안을 세우기에는 자료의 양이 방대하며, 아직 1차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보존처리 방안을 마련하기에는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따라서 더 이상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의 범위에서 확인, 분류, 기술하고, 아카이브 보존 용품을 이용하여 최소의 보존 처리를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2016년 11월 2일 대학원생 강영지, 이수민이 배기형과 구조사 아카이브 구축에 참여하게 된다. 처음 시작할 당시 프로젝트별 시리즈 계열은 대략 330여건으로 확인되었지만, 기록물의 건별 기술 (작품명, 생산목적, 수량, 매체종류와 크기, 작성자, 생산자, 생산처, 생산시기, 건별 제목과 세부정보 등의 구체적인 정보기록)을 진행하면서 지속적으로 그 목록이 추가되었고, 기록물 철의 구분이 지속 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자료의 기술은 수집 자료 전체를 대상으로 건별 작성을 목표하였지만, 상태가 좋지 못한 자료는 기록물 철 단위에서 정보 등록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보관과 관리, 그리고 활용방안 수립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기형의 활동시기에 생산된 자료와 윤홍갑의 활동시기에 생산된 자료를 구분하였고, 보다 세분화하여 배기형의 활동 시기에 생산된 자료 중 정보의 가치에 따라 중요도를 나누어 분류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자료는 배기형과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를 통해 생산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종종 생산자와 생산처가 다른 자료들도 발견되었다. 주식회사 소화제철소, 종합건축연구소, 주식회사 건축기연, 윤효중, 김창집구조연구소, 신건축문화연구소, 제43시설전대, 이천승, 공군본부 시설감실, 김종식·홍순오 건축연구실, 오성건축연구소, 삼신설비, 운석건축연구소, 대한건축학회, 삼아건축연구소, 여주건축 설계사무소, 신진건축연구소, 삼풍건축연구소 등에서 생산한 설계도서가 발견되었는데, 이 또한 별도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색인목록에서 확인가능하다. 지관통에 보관됐던 주요 도면철은 정보 기술 후 평탄화 작업에 들어갔으며, 문서와 사진철 등은 건별 기술 후 프로젝트별 하위단위 카테 고리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로써 「배기형과 구조사」아카이브의 설계도서편은 총 512항목의 기록물 철이 생성되었으며, 총 19,605건의 기록물이 기술되었다. 기술과 분류 작업은 2017년 8월 3일에 1차 완료되었으며, 다시 4개월여에 걸쳐 등록된 자료와 메타데이터를 대조하는 보완작업이 진행되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이뤄진 운영위원회의 자문은 목천건축아카이브 고유 식별부호의 생성원칙, 기록물 분류부호의 부여 방식 등을 새롭게 재정립하게 하였으며, 기록물 정보기록의 원칙과 범위, 그에 따른 정보기술의 방식을 새롭게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7년 9월 18일부터는 정민경과 함께 보존 및 관리, 접근을 위한 물리적 공간을 구획하고, 자료의 중요도와 매체유형을 기준으로 보존 및 관리 방안을 수립해 나갔다. 평탄화가 완료된 주요 도면철은 중성지에 포장되어 도면함에 옮겨졌다.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도면철은 중성비닐팩에 포장하여 지관통에 담아 개별 보관처리하였으며, 배기형 시대 이후의 도면철은 지관통에 담아 모두 평창동 자료보관소로 옮겨졌다. 청사진철과 문서철은 중성지에 포장되어 중성폴더 및 아카이브 박스에 옮겨 산화를 최대한 막도록 하였다. 사진첩의 경우 중성봉투에 아이템 단위로 옮기기엔 훼손될 가능성이 있어 수집 당시의 모습 그대로 중성지에 포장하여 아카이브 박스에 담아 보관 하였다.
2017년 12월, 「배기형과 구조사」의 자료는 이로써 1여 년간의 정리 및 기술,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목천건축아카이브, 건축가 아카이브 목록에 등록되었다. 열람 시 파손될 가능성이 있는 자료, 군사 시설 관련 자료를 제외한 모든 자료의 열람이 가능하다. 색인목록에서 열람제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열람은 이메일 예약을 통해 가능하다.
계열 번호 Archive number |
대상 Archive Name |
생산기간 Dates of Creation |
---|---|---|
0023 |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 1943-2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