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 번호 Archive number
0024
대상 Archive Name
종합건축
생산기간 Dates of Creation
1957-1992
소장위치 Location
목천건축자료관
자료 유형 Extent and Medium
308 실시설계 / 건축
235 계획설계 / 건축
117 실시설계 / 구조
85 실시설계 / 전기
32 실시설계 / 기계
29 실시설계 / 전기소방
8 계획설계 /건축
7 실시설계 / 설비
2 실시설계 / 전기설비
2 실시설계 / 기계설비
1 계획설계/ 건축
1 실시설계 /건축
1 실시서계 / 전기소방
1 계획설게 / 건축
1 실시설꼐 / 구조
1 1977 (추정)
1 실시설계 / 토목
범위와 내용 Scope and Content
종합건축 아카이브는 주로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생산된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시기는 건축가 이승우(2대)가 대표로 활동했던 시기이다. 수집한 자료의 프로젝트(기록물 군) 수는 총 54개이며, 기록물 건으로 따지면 총 942건이다. 1957년부터 1992년까지 생산된 매체는 도면(트레이싱지, 청사진)과 문서(옐로우 페이퍼)로 이루어져 있다.
수집기간 Collection Year
2016-2019
정리기간 Arrangement period
2019-2022
2015년 12월, 건축가 이천승과 김정수가 1953년에 설립한 종합건축이 “㈜종합건축 건축사무소”의 상호로 서울 서대문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종합건축을 운영하고 있는 문광현 이사를 곧바로 만날 수 있었으며, 목천건축아카이브의 설립취지와 활동에 대해 공감해주었다. 문광현은 종합건축의 지난 활동을 소개해주었고,1988년에 제작한 『종합건축』작품집을 기증하였다. 또한 종합건축의 설계도면 47건이 2009년에 윤석우(3대) 대표를 통해서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된 상황에서, 그외의 자료들이 현재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보관소에서 보존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 주었다.
2015년 12월 8일 오전, 종합건축의 이승헌 이사의 안내로 자료보관소를 답사하였다. 보관소 내에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생산한 수작업 도면철들이 다량으로 보관되고 있었다. 프로젝트별로 트레싱지 도면들과 청사진이 도면통과 도면상자에 정리되어 철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진열장에 (대체로) 연도별로 쌓여있었는데 보관함에 붙어있는
프로젝트 명칭들을 통해서 종합건축의 현황자료를 인식할 수 있었다.
당시에는 프로젝트들의 명칭이 다소 생소하였고 종합건축의 활동을 책과 논문 등에만 의지한 채 인식하고 있던 터라, 자료를 바라보는 시각과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다. 이듬해인 2016년 5월 20일 오전, 종합건축의 이창수 이사의 안내로 자료보관소를 재방문할 수 있었다. 이때의 방문목적은 보존되고 있는 자료를 살펴볼 요량으로, 보관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재단에 대여 받아 오는 것이었다. 당시의 선별기준은 시간 순으로 종합건축의 대표성을 띤 프로젝트의 자료를 우선 이관한다는 것이었다.
〈한국증권거래소〉, 〈삼화빌딩〉, 〈정부종합청사 방재설계도〉, 〈루터교회 서비스센터〉, 〈서강대학교강의실〉, 〈한국흥업은행 을지로 지점〉, 〈화신 레나운 공장〉, 〈남양우유공장〉, 〈국방부청사〉, 〈한국과학원 기숙사〉, 〈대전세계박람회 포스코 소재관〉, 〈울산공과대학 도서관〉, 〈대한재보험〉, 〈진해선수촌〉, 〈기술연구소관리건물 및 화폐박물관〉, 〈여의도 국회의사당 본 건물〉, 〈국립중앙박물관 이전개축공사〉등, 46건의 도면철을 선별하여 총 737건의 도면을 목천건축아카이브로 이관하였다.
목천건축아카이브 운영위원회에 본 자료의 이관 현황을 보고한 후 자료 정리에 들어갔다. 임시보관으로 이관된 원자료를 정리했던 이유는, 한국의 전후복구에 등장하여 경제성장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던 종합건축의 건축이력을 정확히 이해하고자 한 것이었며, 이를 통해 추후 수집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낱장의 도면(원자료)을 살피려는 것이었다.
우선 설계도면(철)들을 시간 순으로 재배열하였다. 본 자료는 종합건축이 생산한 프로젝트 단위의 계열로 구분되었으며, 다시 설계과정의 단계(건축, 구조, 설비, 토목)로 편철되어 도면통에 함께 말려있었거나, 다른 철로 구분되어 보존되고 있었다. 우선 도면통을 기준으로 말려있던 트레이싱지 도면들(도면철)에 대해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과정은 자료의 유형과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려는 것과 동시에, 기술(記述)체계의 배열을 마련하고자 자료의 물리적 상태를 확인하는 차원이었다.
목천건축아카이브 종합건축의 고유번호 즉, 시리즈 계열(records groups)은 0024이다.
시간 순으로 나열한 프로젝트는 시리즈 계열의 하위군인 기록물 군(records series)이 된다. 프로젝트별로 건축행위의
구분은 기록물 철(records file)이 되었고, 기록물 철별로 담겨진 장별 도면은 기록물 건(items)이 되었다. 기록물 철 번호의 4자리는 생산년도에 기준하였다. 프로젝트가 다른데 도면의 생산년도가 같을 경우에는 시간 순으로 하위번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배열의 원칙은 건축설계에서 일반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행위과정과 설계도서의 보관 방법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관한 자료는, 종합건축이 주로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생산한 것이었다. 이시기는 건축가 이승우(2대)가 대표로 활동했던 시기이다. 종합건축의 초기작품(1950년대 중반에서 후반까지)이 프리캐스트공법, 커튼월공법 등이 사용되면서 건물의 입면을 만드는 데에 두각을 나타냈다면, 1960년대 이후로는 그 재료선정과 건축구법이 다양해지며, 건축계획에도 다양한 시도들이 등장한다. 이시기에 계획된 종합의 사무소, 경기장, 도서관 등의 건축들을 보면, 가운데에 코어를 놓고, 네 모서리에 서비스 코어를 두어 평면에 구조적 질서(module)를 부여하는 방식들이 여러 프로젝트에서 드러났다.
2019년 3월, 종합건축의 문광현 이사에게 지금까지 살펴본 자료들의 현황을 전하였다. 그리고 3월 12일 보관소에 재방문하였다. 정리작업을 통해서 종합건축의 역할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는데, 따라서 좀 더 찾아내고 싶은 것, 혹은 놓친 자료가 없는지를 확인하고 싶었던 것이다. 이날 8건의 프로젝트에 대한 도면철을 더 이관할 수 있었다. 〈주택〉, 〈광물지질연구소 별관〉(1960), 〈성심국제학교〉(1961), 〈장충교회〉(1963), 〈한국과학원 제1호, 2호관〉(1971), 〈정부 제2정부청사〉(1974), 〈정부 대집회장〉(1975), 〈한국과학원 제3호, 제6호관〉(1977) 등이었다. 추가로 이관한 이 자료들을 포함하여, 전체 정리 작업을 완료한 후, 개별 자료들의 스캔과 사진촬영 작업을 진행하였다.
정리하면, 수집한 자료의 프로젝트(기록물 군) 수는 총 54개이다. 기록물 건으로 따지면 총 942건이며 매체는 도면(트레이싱지, 청사진)과 문서(옐로우 페이퍼)였다. 시간적 범위는 1957년부터 1992년에 해당한다. 본 자료는 다시 중성지에 덮힌 후 중성비닐팩에 포장되어 지관통에 담겨졌다. 지관통에는 기록물 철 별로 분류번호와 프로젝트 이름이 적혔다.
분류번호 ID |
제목 Title |
생산년도 Dates of creation |
유형 Type |
---|---|---|---|
0024-1957.1 | 이화여자중학교 교사 신축 계획안 | 1957 | 계획 / 건축 |
0024-1957.2 | 한국 흥업은행 을지로지점 신축공사 | 1957.07. | 실시설계 / 구조 |
0024-1961.1 | 성심국제학교 | 1961.05.06.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61.2 | 서강대학교 강의실 건물 | 1961.06.30.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63 | 대한예수교 장로회 장충교회 | 1963.(추정) | 실시설계 / 전기, 구조 |
0024-1965.1 | 남양우유 공장 | 1965. | 실시설계 / 구조, 건축, 전기 |
0024-1965.2 | 신일중고등학교 체육관 | 1966.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69.2 | 연희동 이 씨 주택 | 1969.05.19. | 실시설계 / 건축, 기계, 전기 |
0024-1969.3 | 응접실, 모 주택 | 1969.12.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0 | 중앙병원 주택 계획안 | 1970.01.24.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67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 | 1967 (추정)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68.1 | 모 공무원 아파트 | 1968.3-4.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68.2 | 대일산업창고 | 1968.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71.2 | 한국과학원 기숙사 | 1971.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71.3 | 한국과학원 기숙사 | 1971.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71.4 | 한국과학원 제1호관 설계도 | 1971. | 실시설계 / 건축, 전기, 기계 |
0024-1971.5 | 한국과학원 제2호관 계획도 | 1971.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1.6 | 대한태권도협회 중앙도장 계획 'B'안 | 1971 (추정)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2.1 | 무제(한국과학원 아파트 인근) | 1972.06. | 실시설게 / 건축 |
0024-1972.2 | 정부종합청사 비상계단 신축공사 | 1972 (추정) | 실시설계 / 건축, 방재 설비 |
0024-1973.1 | 화신 레나운 공장 | 1973.08.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73.2 | 화신 레나운 공장 | 1973.08 | 실시설계 / 전기 설비 |
0024-1973.3 | 울산공과대학 도서관 계획안 | 1973 (추정)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3.4 | 울산공과대학 도서관 계획안 | 1973 (추정) | 걔획설계 / 건축 |
0024-1973.5 | 울산공과대학 도서관 계획안 | 1973.06.30. | 실시설계 / 전기소방, 기계 |
0024-1973.6 | 서울대학교 실내 체육관 설계도 | 1973.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4 | 정부 제2종합청사 계획안 | 1974 (추정)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5.1 | 미즈백화점 신축공사 | 1975.05.14. | 실시설계 / 건축, 구조 |
0024-1975.2 | 정부 대집회장 | 1975.12.27.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5.3 | 한국증권거래소 여의도 건물 | 1975 (추정)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77.1 | 한국과학원 생산공학동 및 용역기술동 | 1977.09.10.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77.2 | 한국과학원 제3,6호관(DORMITORY OF K.A.I.S.T) | 1977 (추정) | 실시설계 / 건축, 구조 |
0024-1978 | 삼화 빌딩 | 1978. | 계획·실시설계 / 건축, 전기 |
0024-1981.1 | 대한 재보험 | 1981.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82.1 |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 1982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81.2 | 대한 재보험 | 1981.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82.2 | 여수 한일은행 | 1982.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83 | 진해 제2선수촌 | 1983 (추정) | 계획설계 /건축 |
0024-1985 | 기술연구소관리건물 및 화폐박물관 | 1984.(추정) | 계획설계 / 건축 |
0024-1986 | 한국은행본점 별관 | 1986.11.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92.1 | 대전세계박람회 포스코 소재관 | 1991.(추정) | 실시설계 / 건축, 구조 |
0024-1992.2 | 대전세계박람회 포스코 소재관 | 1991.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92.3 | 대전세계박람회 포스코 소재관 | 1991. | 실시설계 / 구조 |
0024-1992.4 | 대전세계박람회 포스코 소재관 | 1991. | 실시설계 / 건축 |
0024-1992.5 | 대전세계박람회 포스코 소재관 | 1991. | 실시설계 / 건축, 구조 |
0024-0001 | 뉴코리아호텔 | 미상 | 실시설계 / 구조, 건축 |
0024-0002 | 구의동 주택 신축공사 | 미상 | 실시설계 / 전기설비, 기계설비 |
0024-0003 | 노동복지회관, 수원복지회관 | 미상 | 계획설계 / 건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