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군 Project

0024, 종합건축

0024-1982.1,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개축공사

계열 번호
Archive number
대상
Archive Name
생산기간
Dates of Creation

분류번호 ID
0024-1982.1

제목 Title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생산년도 Dates of creation
1982

기록물 철 Files
도면

기록물 건 Items
46건

유형 Type
계획설계 / 건축

매체 Medium
청사진

규모 Size
540x395, 910x625

자료범위 Scope and Content
국립중앙박물관은 1945년 이래 몇 차례의 장소 이전과 시설 확충을 진행해오다가 1972년 경복궁 내로 이전, 운영되어 왔다.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정부는 박물관의 유물전시 방법 및 수장고 규모의 한계와 설비기능의 낙후성을 확인하게 되며, 이전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 방법은 광화문에 위치한 중앙청사를 활용하는 방안으로써, 박물관 용도로 개수 및 증축한 후 이전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중앙박물관은 규모 면에서 기존보다 약 3배 이상의 면적이 증가되었으며, 수장 유물의 기획 전시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개선하였고, 계속해서 발굴 자료 수집으로 인해 증가될 수장고의 물리적 공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설계의 핵심과제는 국가행정업무의 관장하였던 중앙청사를 문화 중심지로 탈바꿈시켜 중앙박물관을 이전시키는 것, 박물관과 경복궁 일원을 문화공원으로 조성하는 것, 근대 건축양식과 박물관의 현대적 전시시설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 용도변경에 따른 필요 제반시설들은 장차 증가될 면적 및 규모를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 등이었다. 따라서 종합건축은 본관과 사회교육관을 수선하고 잔여 수십동의 건물들을 철거하여 박물관의 외부공간을 녹지 및 휴식공간이 갖춰진 문화공원으로 조성하려 하였고, 본관 ‘日’자 형태의 내부 중정에는 전시 및 강당의 기능을 배치시켜 1,000평을 증축하였으며, 박물관 내외 공간을 이용하여 400대의 주차공간을 확보하였다. 관리 및 집회공간은 1층에, 전시공간은 2층부터 4층까지, 학예 및 연구공간은 5층에 배치하는 층별 공간계획을 마련하였으며 본관 옆 지하 건물에는 수장고를 마련하였다. 본 박물관은 역사 및 고고 박물관과 사회교육기관의 성격을 지니며,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시대 순으로 분류하고, 중국·중앙아시아, 일본·신안해저유물 등 한국과 주변 국가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되었다.

ID Files Category Title Items